Codeit/JavaScript

함수의 실행 순서

효땡 2024. 8. 4. 14:23
function sayHello() {
  console.log('Hello');
  console.log('Welcome to Pororo!');
} // 함수를 정의한다고 호출되지 않음

console.log('함수 호출 전'); // 함수 호출 전
sayHello(); // Hello + Welcome to Pororo!
console.log('함수 호출 후'); // 함수 호출 후
function square(x) {
  return x * x;
}

console.log('함수 호출 전'); // 함수 호출 전
console.log(square(5)); // 25
console.log('함수 호출 후'); // 함수 호출 후
function square(x) {
  return x * x;
}

console.log('함수 호출 전'); // 함수 호출 전
console.log(square(3) + square(4)); //25 -> 9 + 16
console.log('함수 호출 후'); // 함수 호출 후

 

실습

console.log('동수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');
console.log('윤하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');
console.log('재준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');
console.log('동훈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');
console.log('영희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');
console.log('신욱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');

위와 같이 반복이 많은 작업은  함수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.

함수를 이용해서 같은 겨로가가 나오도록 코드를 작성해주세요.

 

function logParticipant(name) {
  console.log(`${name}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`);
}

logParticipant('동수');
logParticipant('윤하');
logParticipant('재준');
logParticipant('동훈');
logParticipant('영희');
logParticipant('신욱');

// 테스트 코드
logParticipant('동수');
logParticipant('윤하');
logParticipant('재준');
logParticipant('동훈');
logParticipant('영희');
logParticipant('신욱');

 

실습 결과

동수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
윤하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
재준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
동훈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
영희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
신욱(이)가 대화에 참여했습니다.

실습

console.log('3 * 4 = ' + 3 * 4);
console.log('3 * 2 = ' + 3 * 2);
console.log('7 * 5 = ' + 7 * 5);
console.log('8 * 9 = ' + 8 * 9);
console.log('5 * 5 = ' + 5 * 5);
console.log('9 * 9 = ' + 9 * 9);

위와 같이 반복이 많은 작업은 함수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.

함수를 이용해서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오도록 코드를 작성해주세요.

 

// 여기에 코드를 작성하세요
function expressMultiplication(x, y) {
  console.log(`${x} * ${y} = ${x * y}`);
}

// 테스트 코드
expressMultiplication(3, 4);
expressMultiplication(3, 2);
expressMultiplication(7, 5);
expressMultiplication(8, 9);
expressMultiplication(5, 5);
expressMultiplication(9, 9);

 

실습 결과

3 * 4 = 12
3 * 2 = 6
7 * 5 = 35
8 * 9 = 72
5 * 5 = 25
9 * 9 = 8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