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Script
[JS] 연산자
효땡
2024. 6. 2. 23:09
1. () 연산자
document.write(3+4+5/2); //9.5
document.write((3+4+5)/2); //6
2. 대입연산자
let num=3;
num=num+2; //3+2
document.write(num); //5
num+=2;
document.write(num); //7 (5+2)
num=num-3; //7-3
document.write(num); //4
num=-3;
document.write(num); //1 (4-3)
num*=10;
document.write(num); //10 (1*10)
num/=2;
document.write(num); //5 (10/2)
num%=2;
document.write(num); //1 (5%2)
3. 1증감연산자
let a=3;
a=a+1; //3+1
document.write(a); //4
a+=1; //4+1
document.write(a); //5
a++; //5+1
document.write(a); //6
++a; //6+1
document.write(a); //7
let b=3;
b=b-1; //3-1
document.write(b); //2
b-=1; //2-1
document.write(b); //1
b--; //1-1
document.write(b); //0
--b; //0-1
document.write(b); //-1
[주의] 1증감연선자는 다른 계산식과 같이 사용할 경우 주의
let c=10;
let d=20;
let i=c++; //let i=c / c=c+1
let j=--d; //let j=d / d=d-1
document.write(c+d+i+j); //59 (11+19+10+19)
1) let i = c++;
'c++'는 후위 증가 연산자로, 'c'의 현재 값을 반환한 후, 'c'를 1 증가시킨다.
= 'i'는 'c'의 초기값인 10을 받게 되고, 그 후 'c'는 1 증가하여 11이 된다.
2) let j = --d;
'--d'는 전위 감소 연산자로, 'd'를 1 감소시킨 후, 감소된 값을 반환한다.
= 'd'는 19가 되고, 'j'도 19가 된다.
3. 삼항연산자
-> 형식) (조건) ? 참 : 거짓
문제1) 절대값을 구하시오. (양수값을 구하시오.)
let su=5;
let result=(su<0) ? su*-1 : su; //-5<0 + -5*-1
document.write(su + "의 절대값: " + result); //5의 절대값: 5
문제2) 세 개의 수 중에서 가장 큰 값(최대값)을 구하시오.
let x=7, y=5, z=9;
let max = (x>y) ? ((x>z) ? x:z) : ((y>z) ? y:z);
document.write("최대값: " + max); //최대값: 9